반응형
judahhh
좋게 생각하면 좋게 흘러간다!
judahhh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0)
    • git (2)
    • Algorithm (39)
    • Computer Science (8)
    • TIL (8)
    • FrontEnd (3)
      • React (8)
      • Typescript (0)
      • Javascript (1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git branch
  • 티스토리챌린지
  • branch 조회
  • 이직
  • 주니어 개발자
  • branch 삭제
  • branch 이동
  • branch 생성
  • 자바스크립트 배열 메소드
  • 프론트엔드 개발자
  • git branch 명령어
  • 자바스크립트 배열 함수
  • 오블완
  • 자바스크립트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judahhh

좋게 생각하면 좋게 흘러간다!

Algorithm

[JS] 프로그래머스 lv2.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2023. 2. 10. 21:07
728x90

문제 설명

양의 정수 n이 주어집니다. 이 숫자를 k진수로 바꿨을 때, 변환된 수 안에 아래 조건에 맞는 소수(Prime number)가 몇 개인지 알아보려 합니다.

  • 0P0처럼 소수 양쪽에 0이 있는 경우
  • P0처럼 소수 오른쪽에만 0이 있고 왼쪽에는 아무것도 없는 경우
  • 0P처럼 소수 왼쪽에만 0이 있고 오른쪽에는 아무것도 없는 경우
  • P처럼 소수 양쪽에 아무것도 없는 경우
  • 단, P는 각 자릿수에 0을 포함하지 않는 소수입니다.
    • 예를 들어, 101은 P가 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437674을 3진수로 바꾸면 211020101011입니다. 여기서 찾을 수 있는 조건에 맞는 소수는 왼쪽부터 순서대로 211, 2, 11이 있으며, 총 3개입니다. (211, 2, 11을 k진법으로 보았을 때가 아닌, 10진법으로 보았을 때 소수여야 한다는 점에 주의합니다.) 211은 P0 형태에서 찾을 수 있으며, 2는 0P0에서, 11은 0P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정수 n과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k진수로 바꿨을 때, 변환된 수 안에서 찾을 수 있는 위 조건에 맞는 소수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1 ≤ n ≤ 1,000,000
  • 3 ≤ k ≤ 10

입출력 예

n k result
110011 10 2
437674 3 3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110011을 10진수로 바꾸면 110011입니다. 여기서 찾을 수 있는 조건에 맞는 소수는 11, 11 2개입니다. 이와 같이, 중복되는 소수를 발견하더라도 모두 따로 세어야 합니다.

 

 

나의 풀이

function isPrime(num) {
  if(num <=1) return false
  for(let i=2;i<=Math.sqrt(num);i++){
    if(num % i == 0)
      return false
  }
  return true
}

function solution(n, k) {
    let answer = 0,prime,stack=[],arr=[]
    prime=(n.toString(k)+"").split("0")

    for(let i=0;i<prime.length;i++){
     if(isPrime(prime[i]))
      answer++
    }

 return answer
}

풀이 전략

1. prime에 주어진 n을 진수 변환 후 0으로 잘라 실제 소수인지 판별할 수를 넣는다

2. prime 배열을 순회하며 소수인지 판별

2-1. 소수인지 판별하는 isPrime()함수는 2부터 제곱근 수까지 나누는 수가 존재하면 바로 false return , 존재하지 않는 경우 true return

 

 

 

?? 왜 제곱근 수냐 ??

 

제곱근(sqrt) 범위 나누기법이란? 

소수 여부를 검사할 수에 대해서 그 값의 제곱근을 기준으로 그 곱은 대칭적으로 곱이 일어나므로 제곱근 이하의 작은 값까지만 검사를 하면 나머지는 검사를 할 필요가 없다는 방법으로 검사할 데이터를 제곱근 개 이하로 줄 일 수 있는 방법이다.

 

예). 18로 예를들면, 18의 약수는 1, 2, 3, 6, 9, 18이며,

18은 1 * 18, 2 * 9, 3 * 6   < √18 >   6 * 3, 9 * 2, 18 * 1 이다.

 

√18  * √18도 18인데, 이 √18을 좌우로 곱하기가 대칭이므로 sqrt()값보다 같거나 작은 숫자로 나누어지면 그 이후에 대해서는 대칭이므로 계산을 할 필요가 없다는 원리로 검사하려는 수의 제곱근 값 이하의 수만큼 체크하면 되는 기법이다. 

√18의 값은 4.242... 이므로 4까지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소수가 아니라는 의미이며 큰 수도 몇번의 계산으로 확인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728x90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S] 프로그래머스 lv2. 오픈채팅방
    • [JS] 프로그래머스 lv1. [1차] 다트 게임 (2018 kakao recruitment)
    • [JS] 프로그래머스 lv2. 기능 개발
    • [JS] 프로그래머스 lv2. 귤 고르기
    judahhh
    judahhh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이모저모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