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udahhh
좋게 생각하면 좋게 흘러간다!
judahhh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0)
    • git (2)
    • Algorithm (39)
    • Computer Science (8)
    • TIL (8)
    • FrontEnd (3)
      • React (8)
      • Typescript (0)
      • Javascript (1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branch 삭제
  • branch 이동
  • git branch
  • 주니어 개발자
  • 자바스크립트 배열 함수
  • 자바스크립트
  • 프론트엔드 개발자
  • branch 생성
  • 티스토리챌린지
  • branch 조회
  • 자바스크립트 배열 메소드
  • git branch 명령어
  • 이직
  • 오블완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judahhh

좋게 생각하면 좋게 흘러간다!

Algorithm

[JS] 프로그래머스 lv1. [1차] 다트 게임 (2018 kakao recruitment)

2023. 2. 11. 12:41
728x90

문제 설명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1.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2.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3.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4.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5.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6.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7.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8.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9.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 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 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제

예제 dartResult answer 설명
1 1S2D*3T 37 11 * 2 + 22 * 2 + 33
2 1D2S#10S 9 12 + 21 * (-1) + 101
3 1D2S0T 3 12 + 21 + 03
4 1S*2T*3S 23 11 * 2 * 2 + 23 * 2 + 31
5 1D#2S*3S 5 12 * (-1) * 2 + 21 * 2 + 31
6 1T2D3D# -4 13 + 22 + 32 * (-1)
7 1D2S3T* 59 12 + 21 * 2 + 33 * 2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dartResult) {
  let score=0,arr=[]
  for(let i=0;i<dartResult.length;i++){

  if(!isNaN(dartResult[i]))
    score= Number(dartResult[i-1])===1?10:Number(dartResult[i])
  else if(dartResult[i]=='S') arr.push(score)
  else if(dartResult[i]=='D') arr.push(score**2)
  else if(dartResult[i]=='T') arr.push(score**3)
  else if(dartResult[i]=='*'){
    arr[arr.length-2]*=2
    arr[arr.length-1]*=2
   }
  else if(dartResult[i]=='#'){
    arr[arr.length-1]*=-1
   }

}
 return arr.reduce((a,b)=>a+b,0)
}

풀이 전략

주어진 dartResult 를 순회

score : 숫자만 분리해서 넣는 변수

arr : 실제로 S,D,T 와 *,#에 의해 계산된 점수를 넣는 변수

1. dartResult[i]가 숫자일 경우 

  1-1. 지금 현재 값이 숫자인데 그 전 값이 1이다? 그러면 이번 단계의 점수가 10이라는 뜻이므로 score에 10을 집어넣고 아닌 경우 그냥             dartResult[i]를 숫자형으로 바꾼 후 집어넣기

2. dartResult[i]가 'S'인 경우

   1제곱 한 값이므로 그대로 arr 변수에 score 값 집어넣기

3. dartResult[i]가 'D'인 경우

   2제곱 한 값이므로 arr 변수에 score에 2제곱 하여 집어넣기

4. dartResult[i]가 'T'인 경우

   3제곱 한 값이므로 arr 변수에 score에 3제곱 하여 집어넣기

5. dartResult[i]가 '*'인 경우

arr의 계산된 값에 이전 값과 현재 값 두 배 하기

6. dartResult[i]가 '#'인 경우

arr의 계산된 값에 현재 값 * ( -1 ) 하기

 

 

 

review)

조건문으로 구현하는 부분은 괜찮았는데

생각보다 score가 10인 경우10은 두자리인데 어떻게 골라낼지 생각하는게 잘 떠오르지 않았다. 

 

score = Number(dartResult[i-1]) === 1 ? 10 : Number(dartResult[i])    ->  이부분!

728x90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S] 프로그래머스 lv1. 명예의 전당
    • [JS] 프로그래머스 lv2. 오픈채팅방
    • [JS] 프로그래머스 lv2.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 [JS] 프로그래머스 lv2. 기능 개발
    judahhh
    judahhh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이모저모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