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TIL] 데브코스 특강 - '함께 자라기' 김창준님 특강 후 요약 및 느낀 점

judahhh 2023. 7. 27. 22:24
728x90

 

 

 

 

 

오늘 김창준님 특강에서 들었던 내용을 바탕으로 정말 간단한 til을 적어봐야겠다.

특강은 특별한 주제가 있었다기보다는 다른 분들의 질문을 바탕으로 답변해주시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정말 간단하게 키워드만 적을 것이기 때문에 원래 노션에 정리하려다가 혹여나 이 간단한 글을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얻는 분들도 있을테니 블로그에 적기로 했다.

 

아래 영상을 바탕으로 실천해보려는 목적도 있다😎

 

https://youtu.be/L7zWucx7TR8

 

 

1. 데일리 스크럼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론

요약

 어제 뭐했는지, 오늘 뭐할건지를 이야기하는 시간은 단순히 커피챗일 뿐, 스크럼이라 할 수 없다. 스크럼의 중요 요소는 관찰, 조정, 장애물이다. 어제 어땠는지를 관찰한 후 조정하는 것으로 그 사이에 무슨 장애물이 있었는지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내가 뭘 어떻게 할지를 조정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 

 

-> 답변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팀원들과 회의를 통해 스크럼을 단순히 어제 뭐했고 오늘 뭐할건지를 이야기하는 방식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를 공유하고 팀원들이 서로 피드백을 주며 어떻게 조정할 수 있을지를 중점으로 스크럼 방식을 변경해보기로 했다.

 

 

 

2. 면접관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는 질문, 내가 모르는 것을 질문 받았을 때 당황하지 않는 법

요약 :

 질문으로 그 사람의 이미지가 역변하지 않는다. 그 전에 미리 말로써 좋은 인상을 주어야 한다. 오히려 역으로 우리가 질문으로 그 회사, 그 팀에 대한 판단을 해야한다. 회사 내, 팀 내에서 갈등이 있을 시 어떻게 해결하시는 편인지 질문해보면 그 회사나 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갈등이 없다고 하거나 면접관 분이 제대로 답변해주지 않으면 그 회사나 팀은 안 좋은 팀일 가능성이 높다.

 

 

 

3. 생활패턴이 무너지는 것 (늦게 자는 것) 어떻게 해결하는지

요약

꼭 일찍 자는 것만이 좋은 것은 아니다. 자신의 생체 리듬을 잘 파악하고 본인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한다. 사람은 진화론적으로 늦은 시간에 일하는 사람도 있어야 하고 이른 시간에 일하는 사람도 있어야 했기 때문에 사람마다 생체 리듬이 다르게 진화했다고 한다. 

나의 생체리듬에 대해 잘 파악하고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난다고 해서 무작정 본인을 다그치지 말 것

 

 

4. 현업에서의 애자일 방법론

요약

팀 내에서 오늘 하루 우리가 뭘 할 수 있는지, 뭘 해야 가장 좋을지를 매일매일 회의를 통해 조정한다. 

 

 

 

5. 팀원 중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이 있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

요약 : 답변이 기억나지 않는다....

 

 

 

6. 하루 루틴 중 "이건 정말 꼭 하면 좋다" 하는 것?

요약

1) 하루를 시작하기 전, 오늘 뭘해야하는지를 적는다.

2) 해야하는 일들 중 내가 잘 했을 때 가장 좋을 것 같은 일의 우선순위를 매긴다.

3) 그 일을 잘 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7. 눈에 띄는 성장이 보이지 않아 조급한 마음이 들 때 어떻게 해결하는지

요약 :

다이어트를 할 때 몸무게를 재지 않고 지속적으로 진행하기란 굉장히 어렵다. 본인이 공부한 것에 대해서 아무것도 참고하지 않고 백지에 내가 공부한 것을 적어보자. 그러면 당연히 구멍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이런 방식으로 내가 공부한 것을 확인하며 하루하루 성취를 가져야 한다. 실제로 모 회사에서 몇 년전에 게임을 만들기 위해 팀을 꾸렸는데 도저히 성과가 안 나고 일도 재미가 없어서 그 팀의 팀장님이 엄청난 게임을 만들기에서 매일 게임 하나씩 만들기를 목표로 바꿨더니 일이 너무 재미있어졌다고 하는 예시를 들어주셨다.

결론적으로, 하루하루 내가 성취를 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자.

 

-> 내일부터 당장 하루하루를 성취할 수 있을 만한 목표를 설정해서 실천해봐야겠다.

 

 

 

8. 감정기복을 관리하는 법

요약 :

1) 자신만의 좋아하는 공간을 만들자

2) 회복탄력성을 기르자 -> 회복탄력성은 훈련이 가능하다. 

3) 회복을 루틴화하자

4) 산책

 

-> 예전에는 무슨 일이 있거나 감정기복이 있을 때 잘 조절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는데 여러가지 감정들을 극복하는 경험을 많이 하다보니 확실히 회복탄력성이 훈련이 되는 것 같았다.

산책은 굉장히 잘 하고 있지만 자신만의 좋아하는 공간을 만드는 것은 내가 하고 있지 않았던 것 같아서 나만의 아지트 같은 카페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예전에는 아지트 같은 공간이 꽤 있었던 것 같은데 이사 오고 나서는 딱히 어디!라고 말할 만한 곳이 없는 것 같다. 내가 좋아하는 아지트 같은 카페를 찾을 생각에 두근두근하다🤩

 

 

 

 

 

728x90